스프링

스프링 DB 1편 완강기념 정리 (22.8.22)

dodo4723 2024. 2. 13. 17:58
728x90
반응형

사용자가 특정 차트를 고르면, 전 종목의 과거(10년) 차트들을 모두 탐색하여 가장 유사한 차트 10개를 골라 사용자에게 보여줍니다.

 

웹프로젝트 링크

 

비슷한 차트 검색기

전 종목의 최근 10년간 모든 차트를 탐색합니다. 내 종목의 차트는 과연 상승하는 차트일까요?

www.similarchart.com

 

 

 

 

 

 

 

 

 

 

 

 

김영한 개발자님의 스프링 DB 1편 강의를 수강 일주일 후 까먹을 때즈음 복습하며 정리한 내용입니다.

1. JDBC 이해

2. 커넥션풀과 데이터소스 이해

3. 트랜잭션 이해

4. 스프링과 문제 해결 - 트랜잭션

5. 자바 예외 이해

6. 스프링과 문제 해결 - 예외처리, 반복

 

느낀 점

여러 벡엔드 기술들 중에서도 내가 가장 관심 있는 주제가 데이터베이스이다. 이전 로드맵인 스프링 핵심원리, MVC등등의 강의를 들으면서 데이터베이스를 다루는 강의까지 오는 것을 기대했었다. 그래서인지 더 재밌게 들었던 강의였다.

 

특히 데이터베이스 이론서적으로 읽어만 보거나 말로만 듣던 트랜잭션을 직접 다뤄보는 것이 흥미있었다. 역시 개발자는 직접 다뤄봐야 더 공부효율이 좋은 것 같다.

 

예외 처리에 대해서도 공부했다. 언체크 예외와 체크예외가 인상 깊었다. 이전까지 파이썬, C++, 자바, 자바스크립트 등등 예외처리에 관한 내용을 책으로 접해보긴 했지만, C#으로 모바일 게임을 만들 때도 예외처리에 관한 부분은 거의 사용하지 않고.. 이 예외처리가 그렇게 중요한 부분인가? 에 대해서는 감을 잡지 못했다. 하지만 개발에 있어서 빠질 수 없는 부분인 것 같다.

 

여러 언어들을 접하면서 느낀 점도 있는데, 생각보다 거기서 거기인 느낌이다. 문법이 조금씩 다를 뿐, 대부분 어떤 큰 틀 안에서 벗어나지 않는 것 같다. 한 언어의 클래스를 다뤄봤으면 다른 언어의 클래스도 눈에 쏙쏙 들어오는 것 같이 자바 예외 처리에 대해 공부하면 다른 언어를 공부할 경우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