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가 특정 차트를 고르면, 전 종목의 과거(10년) 차트들을 모두 탐색하여 가장 유사한 차트 10개를 골라 사용자에게 보여줍니다.
비슷한 차트 검색기
전 종목의 최근 10년간 모든 차트를 탐색합니다. 내 종목의 차트는 과연 상승하는 차트일까요?
www.similarchart.com
인터넷
TCP/IP라는 패킷 통신 유형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이용해 전 세계 규모의 네트워크를 서로 연결한 거대한 컴퓨터 네트워크
초기에는 학술 연구가 목적이었지만, 규모가 커지며 일반 사용자의 요구가 증가하여 ISP 사업자가 등장하고, 현재는 세계를 연결하는 광역 네트워크의 표준 인프라이다.
ISP
: Internet Service Provider. 인터넷 접속을 제공하는 서비스 사업자. 이메일 주소 발급, 홈페이지 공간 대여 같은 인터넷 종합 서비스를 제공함.
KRNIC
: Korea Network Information Center. 공인 IP주소는 전 세계에 하나만 있는 값이어야 하므로 각국에는 담당 전문 기관이 설치되어 있으며, KRNIC은 한국의 기관이다.
WWW
: World Wide Web. 인터넷에서 표준으로 이용되고 있는 문서 시스템. 각 컴퓨터인 WWW 클라이언트는 WWW 서버에 HTML로 작성되어 있는 내용을 웹 브라우저를 사용해 내용을 열람한다.
웹 사이트
: WWW 상에서 데이터나 파일이 한 곳에 모여 있는 장소. 특정 페이지를 나타내기보다는 그 페이지 모음을 의미.
URL
: Uniform Resource Locator. 인터넷상에서 파일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기술 형식이나 주소. WWW의 홈페이지 주소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
HTTP
: WWW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보통 80번을 사용.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해 서버가 응답하는 방식.
SMTP
: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인터넷 메일 송신에 이용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로, 보통 25번 포트를 사용한다. 전자 메일을 보내면 보낸 사람의 SMTP서버로 데이터가 발송되고, 거기서 다시 대상 메일 서버로 전송되어 받는 사람의 메일 박스에 저장됨.
POP
: Post Office Protocol. 인터넷 메일 수신에 사용되는 프로토콜로, 보통 110번 포트를 사용한다. 메일 서버에 접속해 전송된 전자 메일을 다운로드하여 서버에는 남기지 않는다.
IMAP
: 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 POP과는 달리 모든 송수신 데이터를 서버에서 관리하여 전자 메일 소프트웨어만 있으면 어느 컴퓨터에서도 같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음.
FTP
: File Transter Protocol. 두 컴퓨터 간에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제어용으로 21번, 전송용으로 20번을 사용한다. 사용자 인증, 사용자 권한 설정, ASCII 모드 사용시 전송할 곳의 시스템에 맞는 개행 코드 변환 등의 기능을 지원한다.
SSL
: Secure Sockets Layer은 네트워크상에서 서로를 인증하게 하고, 통신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도용, 도청, 조작을 방지한다. 전송 계층과 응용 계층 사이에 위치한다.
HTTPS
: HTTP에 SSL에 의한 암호화 통신 기능을 추가한 것.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NTP
: Network Time Protocol. 인터넷에서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는 시간 정보 프로토콜. 계층 구조이며, 상위 계층일수록 정확한 시간 정보를 가진다.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신이므로 중간 경로의 환경에 따라 패킷이 도달하는 시간을 고려하여 이 편차를 감안한다.
ICMP
: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TCP/IP 패킷 전송에서 발생한 각종 에러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프로토콜. 에러가 발생하면 패킷의 발송지로 에러 정보를 거꾸로 전송한다. ICMP를 이용한 명령어로는 ping
(네트워크 소통 확인)과 traceroute
(네트워크 경로 조사)가 있다.
쿠키
: WWW 서버의 지시에 따라 웹 브라우저가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사용자 정보 등 독자적인 값인 쿠키를 저장한다. 주로 사용자를 식별하는 것이 목적인 경우가 많다. 암호화되지 않아 변조의 위험이 있다.
Dynamic DNS
: 일반적인 DNS는 내용이 변경되어도 전 세계에 반영되려면 3일정도 걸렸다. Dynamic DNS는 변형 사항을 즉시 알린다. ADSL과 같이 IP 주소가 변하는 환경에서도 고정 도메인 이름을 사용해 외부에서 액세스가 가능.
클라우드
: 데이터와 소프트웨어는 내 컴퓨터가 아닌 구름(네트워크/인터넷)에 있는 서버가 관리하고, 사용자는 접속 환경만 갖추면 필요에 따라 여기에 접속할 수 있다. 도입 비용이 저렴하고, 관리나 백업은 서비스 제공자가 알아서 해준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림으로 이해하는 네트워크 용어 읽고 면접준비 - 보안과 암호화 방식(23.2.23) (0) | 2024.02.16 |
---|---|
그림으로 이해하는 네트워크 용어 읽고 면접준비 - 모바일 네트워크(23.2.22) (0) | 2024.02.16 |
그림으로 이해하는 네트워크 용어 읽고 면접 준비 - 서비스와 프로토콜(23.2.19) (0) | 2024.02.16 |
그림으로 이해하는 네트워크 용어 읽고 면접 준비 - 네트워크 하드웨어(23.2.19) (0) | 2024.02.16 |
그림으로 이해하는 네트워크 용어 읽고 면접 준비 - 광역 통신망(WAN)(23.2.18) (0) | 2024.02.16 |